시장경제연구원 로고

MERI 자료실

연구보고서

생활체육이 국민복지에 기여하는 가치분석
글쓴이 : 관리자 작성일 : 2008-12-05 조회: 1,125

 

■ 분류 / 기관분류 : 연구용역 /

■ 출처 / 저자 : 시장경제연구원 / 시장경제연구원

■ 발행일 : 2007-12


■ 내용

  본 연구의 목적은 삶의 질 제고를 위한 국민복지정책의 체계적 시행에 근간이 되는 생활만족지수의 측정방법을 개발하고, 생활체육이 그 방법에 따라 측정된 생활만족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
생활만족 측정에 있어, 기존의 전반적 측정방식과 더불어, DRM 방식과 기대 일치/불일치 패러다임을 도입하여, 생활만족지수를 측정하고 생활체육의 참가수준을 결정짓는 요인으로 운동을 하고자 하는 동기의 수준과 운동에 필요한 자원확보수준을 들고, 이 두 요인에 따라 생활체육의 참가수준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그리고 이 참가수준에 따라 생활체육을 통해 얻는 혜택과 생활체육만족도가 얼마나 달라지는지 파악한다. 그리고 생활체육만족도가 생활만족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며 모든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생활만족 진작을 위한 국민복지 차원의 생활체육정책에 대해 의견을 제시한다.

주요 발견(결론)
생활만족 측정의 안정성 : 본 연구에서는 DRM생활만족과 (기대 일치/불일치 패러다임에 따라 그 타당도가 검증된) 전반적 생활만족의 합산 형식으로 생활만족을 측정하였는데 이렇게 도출해낸 생활만족수치는 생활체육과 생활만족과 관련된 여러 관계들을 검증하는데 유효하였다. 즉, 이에 따라 그 측정지수는 안정적이고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생활만족의 특징
종목별로는 구기/격투기/헬스와 같은 종목이 생활만족에 더 크게 기여하였다.
조사상의 한계는 있지만, 강북지역과 수도권 인근 지역의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다른 지역(특히 강남) 사람들보다 생활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학력/직업 수준이 높을수록 생활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체육에 참가하는 사람들에 있어서, 연령, 성별, 결혼여부에 따라 생활만족이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생활체육만족의 특징
종목별로는 구기와 격투기 운동을 하는 사람들의 생활체육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헬스에 대한 만족도는 낮았다.
지역별로는 강남지역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생활체육에 만족하지 못하였으며 이는 강남지역의 상대적으로 낮은 생활만족이 낮은 생활체육만족도와도 관련이 있다고 여겨진다.
사회경제적 계층이 높은 사람들이 생활체육참가로부터 더 큰 효용을 느끼고 있었다.
생활체육만족의 선행변수
운동을 1회에 많이 하거나 또는 오랜 기간 하는 것보다 자주 하는 것이 더 큰 운동효과와 생활체육만족도를 느끼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육체적 건강, 또는 사회적 목적으로 운동을 하는 사람들보다 자아충족적 목적이나 재미나 희열을 느끼기 위해 운동을 하는 사람이 더 높은 운동성과와 생활체육에 대한 만족도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목적이나 자기 과시성으로 운동을 하는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오랜 기간 운동을 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체육만족과 생활만족 : 생활체육만족은 건강이나 소득/학력으로 대변된 사회경제적 지위보다도 생활만족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록
이전글 이전글 한국인의 재능 특성 및 재능분류 모형 연구
다음글 다음글 의약품 시장 공동마케팅에 대한 경쟁법적 분석 및 시사점 도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