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경제연구원 로고

MERI 자료실

연구보고서

주요 부문별 개발협력 방안 연구
글쓴이 : 관리자 작성일 : 2013-03-28 조회: 1,969
주요 부문별 개발협력 방안 연구_요약_20130327.pdf주요 부문별 개발협력 방안 연구_요약_20130327.pdf
  • ■ 연구형태 : 공동연구
  • ■ 발  주  처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 연구기간 : 2012.06.26~ 2012.12.13
  • ■ 연구책임 : 김종일 (동국대 교수)

■ 개요

  • 우리 정부는 그 동안 ‘선진 일류국가’를 국가비전으로 정하고 ‘성숙한 세계국가’ 구현을 5대 국정지표 중 하나로 채택함으로써, ‘기여외교’를 통해 국격을 제고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추진하여 왔으며, 국제개발협력위원회는 2010년 국무총리실 주관 하에 ‘국제개발협력 선진화 방안’을 발표하고, 유‧무상 원조를 통합한 ODA 기본방향과 틀을 정립하였음.
  • 단편적인 하드웨어 중심의 개별 프로젝트에 편중된 개발협력을 지양하고 종합적 프로그램 접근 방식의 개발협력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주요 부문별 개발협력 체계와 협력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의 발전경험을 접목시켜 개도국의 산업역량을 제고시키는데 우리가 강점을 보일 수 있는 무역, 산업, 농업, 금융, 교육 등 5개 분야에서의 체계적인 개발협력 방안을 도출함.
  •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이상의 5개 분야의 개발협력에 있어서의 주요 이슈, 각 분야별 개발협력의 국제적인 동향, 선진국의 모범사례 등을 고찰하고, 현재 우리나라에서 수행하고 있는 분야별 개발협력 사업의 내용과 체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서 각 분야별로 개발협력에 있어서 정책방향 및 중점분야별 협력 프로그램을 도출함.

■ 참여연구진

  • 책임연구원: 김종일(초빙연구위원, 동국대 교수)
  • 공동연구원: 윤미경(초빙연구위원, 카톨릭대 교수), 송유철(초빙연구위원, 동덕여대 교수), 임정빈(초빙연구위원, 서울대 교수),
  •                       채재은(초빙연구위원, 가천대 교수), 우명숙(초빙연구위원, 한국교원대 교수)
  • 연 구  지 원: 연규융(연구지원실장), 김수지(연구원)

■ 요약

  • 요약문 별첨 
  • 목록
    이전글 이전글 새로운 경제정책 방향 모색
    다음글 다음글 국민연금기금이 국민경제 및 자본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따른 장기기금운용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