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경제연구원 로고

MERI 자료실

연구보고서

바이오기술 분야에서 공공연구기관의 연구 역량 강화 및 촉진 방안에 관한 연구
글쓴이 : 관리자 작성일 : 2013-03-29 조회: 1,704
바이오기술 분야에서 공공연구기관의 연구 역량 강화 및 확산 촉진 방안에 관한 연구(요약).pdf바이오기술 분야에서 공공연구기관의 연구 역량 강화 및 확산 촉진 방안에 관한 연구(요약).pdf

 

  • ■ 연구형태 : 위탁연구
  • ■ 발  주  처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 연구기간 : 2012.04.01 ~ 2012.12.31
  • ■ 연구책임 : 정인석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 개요

  • 본 연구는 바이오기술 분야에서 대학과 공공연구소의 연구 및 상업화 활동을 촉진하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모색하는 데 궁극적인 목적으로 두고 있다. 이를 위해서 혁신시스템과 여러 관련 제도에 관하여 학술적 논의를 전개하고, 또한 국내 바이오 분야 연구자들에 관한 데이터를 구축하고 계량경제학적 실증분석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정책적 제안에 앞서 연구자의 행태가 제도적, 환경적, 정책적 요인에 의하여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에 대한 이론적, 실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실증연구를 위해서 국내 바이오 분야 연구자들에 관한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한국연구재단으로부터 약 8,000명 이상의 광범위한 바이오 분야 연구자에 관한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또한 여기서 부족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전문 조사기관을 통하여 8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바이오 분야에서 이러한 방대한 데이터를 구축한 실증연구는 처음이라 본다.

    본 보고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2장에서는 국가혁신시스템 전반에 걸친 문제점을 진단하고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기존 중앙집중식의 추격형 모형에서 창의와 자율에 기반한 탈추격형 모형으로 변모해야 함을 강조한다. 공공연구시스템의 의의와 역할을 점검하고 대학과 공공연구소의 역량 강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 방안을 논의하고 제시한다. 3장은 제도적 대안이 연구자의 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이론적 연구로서, 특허, 기술이전, 협력과 관련된 제도의 효과를 분석한다. 4장에서는 연구 및 상업화에 관한 기존 연구들을 소개 및 정리하며, 5장에서 7장은 본 연구에서 구축한 데이터를 이용한 실증연구가 된다. 5장에서 데이터를 소개하면서 국내 바이오 연구자의 속성을 알아보며, 본격적인 계량경제학적인 실증분석이 6장과 7장에 제시되어 있다. 6장에서는 연구 활동에 미치는 제반 요인들의 효과를 검증하고 7장에서는 상업화 활동에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한다.

    ■ 참여연구진

    책임연구원 : 정인석(초빙연구위원,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 공동연구원 : 신혁승(초빙연구위원, 숙명여자대학교 교수), 민희철(초빙연구위원, 한성대학교 교수),

                       신일순(초빙연구위원, 인하대학교 교수)

  • 연 구  지 원: 연규융(연구지원실장), 신수환(연구원)

■ 요약

요약문 별첨

 

목록
이전글 이전글 시장경제인식제고 및 정책대응에 관한 연구: 적정 시장-정부 관계 정립 방향 모색
다음글 다음글 분야별 재정효율화 방안 연구: 보건·의료, 농업, R&D